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동원그룹이 깜짝 발표한 자진 상장폐지 결정으로 인해 주식시장에 큰 반향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동원F&B의 상장폐지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모회사인 동원산업의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그렇다면 동원그룹은 왜 이 같은 결정을 내렸을까요? 단순한 지배구조 개편을 넘어서 글로벌 전략과 M&A 준비까지 다양한 목적이 숨겨져 있습니다.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 편입 추진
현재 동원산업은 동원F&B 지분을 약 74.4%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 따라 동원산업은 자회사 지분 100%를 확보하고, 동원F&B를 상장폐지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동원F&B 주주는 동원산업의 신주를 받는 방식으로 교환됩니다. 교환 비율은 1:0.91502로, 예를 들어 동원F&B 주식 1,000주를 보유한 투자자는 동원산업 주식 915주를 받게 됩니다.
중복 상장 해소와 사업 구조 일원화 목적
동원그룹이 자진 상장폐지를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복 상장 구조를 해소하고 사업 구조를 일원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현재 동원그룹 내에는 동원산업, 동원F&B, 동원홈푸드, 미국 스타키스트(참치 브랜드), 세네갈 소재 스카사 등 총 4개의 식품 계열사가 산재해 있습니다. 이들을 하나로 묶어 글로벌 식품사업 부문을 강화하고, 2030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기존 22%에서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해외 진출과 대형 M&A 준비
또한, 동원F&B는 국내 식품사 중 내수 비중이 특히 높은 편입니다. 해외 매출 비중은 현재 2%대에 머무르고 있으며, 정부의 물가 통제로 인해 국내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동원산업과의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동원F&B 단독으로는 어려웠던 대형 M&A 인수합병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동원그룹은 이미 2014년 테크팩 솔루션(포장),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물류), 2021년 MK(배터리 캔) 인수 등 다수의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김남정 회장은 이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향후 식품 분야에서도 공격적인 M&A를 추진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 셈입니다.
동원F&B 소액주주의 반응과 매수 청구권 이슈
상장폐지를 발표하면서 동원그룹은 주주 보호 장치도 함께 마련했습니다. 동원산업은 동원F&B 주주에게 주식을 신주로 교환해 주고, 주식 매수 청구권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이 청구 가격은 동원F&B 32,131원, 동원산업 35,024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는 시장 가격보다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청구권 행사 자체도 손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소액주주들이 교환 비율에 불만을 가질 가능성도 존재하며, 주총에서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동원산업과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74.42%에 달하기 때문에, 상장폐지 결정이 번복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입니다.
지배 순이익 상승과 기업가치 제고
이번 합병을 통해 동원산업의 지배 순이익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컨센서스 기준으로 동원산업의 지배 순이익은 3,150억 원, 동원F&B는 1,290억 원입니다. 기존에는 동원F&B의 이익 중 74.4%만 반영되었지만, 지분 100% 편입 시 100%가 반영됩니다. 이는 약 330억 원, 비율로는 10.5% 이상의 순이익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주가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또한, 양사 합병 후 자사주 소각까지 진행된다면 발행 주식 수는 줄고, 주당 가치가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동원산업 주주에게는 긍정적인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중복 상장 해소는 글로벌 전략의 첫걸음
동원그룹의 동원F&B 자진 상장폐지는 단순한 지배구조 정리가 아닌, 글로벌 식품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 마련입니다. 자회사 통합, 중복 상장 해소, M&A 확대, 해외 진출 강화 등 다양한 전략이 맞물려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와 주주가치 모두를 끌어올릴 수 있는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