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상승곡선만 그리고 있는 물가와 정체되어 버린 급여, 체감 급여는 하향 곡선을 그린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저금리 적금과 고금리 대출상품만 제공되고 있는 현실, 내 집 마련과 결혼 등으로 목돈 지출을 준비해야 하는 2030 세대가 느끼는 현실의 벽은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 청년도약계좌 '는 갑갑한 현실에 부딪힌 우리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정부에서 시행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그럼 '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신청기한과 가입조건등을 상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서민금융진흥원이 운영하는 청년도약계좌는 19세 ~ 34세 이하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정부가 마련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매월 1천 원 ~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며 5년(60개월) 만기 상품입니다. 정책형 금융상품인 만큼 가입 시 월 최대 3.3만 원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 자립을 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최대 9.54%까지 수익률을 낼 수 있어 일반 적금에 비해 높은 수익률이 포인트이며, 자격조건이 갖추어졌다면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매월 초로 보면 되고 전월 마지막주에 공지를 하니, 가입하고자 하는 달의 전월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아쉽게도 이번 3월 가입은 3월 4(화) 일부터 3월 14일(금)로 마감이 이루어졌습니다. 4월 가입 신청일은 4월 1(화) 일부터 4월 11(금)로 예상되며, 가입의사가 있으면 꼭 3월 말일경 확인하기 바랍니다.
이번 3월 가입기간 중에 약 15만 명이 가입을 신청해 직전 분기에 비해 약 2.5배를 달성하며, 청년들의 관심이 매우 뜨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을 한 대상자들은 가입심사를 거쳐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가입대상으로 안내를 받은 사람은 3월 20일부터 4월 11일까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1인 가구와 2인이상 가구의 개설일자가 구분되니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1인 가구 계좌 개설 가능 | 2025년 3월 20일(목) ~ 2025년 4월 11일(금) |
2인 이상 가구 계좌 개설 가능 | 2025년 3월 31일(월) ~ 2025년 4월 11일(금) |
3. 가입 조건
'청년도약자금'은 우리 청년세대를 지원하는 만큼 가입조건 중 첫 번째가 나이가 될 것입니다. 19세 이상 34세 이하 까지를 대상으로 합니다. 📌 군 복무자의 경우 병역복무기간을 최대 6년 차감하니 참고하세요. 두 번째는 소득을 보는데요. 여기서 소득은 개인·가구 ·금융 소득을 모두 살펴봅니다. 이 모든 조건에 부합할 경우 계좌 개설이 가능해집니다.
조건 | 세부내역 |
나이 | 신규 가입일 기준 19세~34세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
개인소득 | 총 급여액 7,500만원 (종합소득 6,300만원)이하에 해당하는 자 📌 단, 비과세 소득만 있는경우 제외하나,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포함), 군장병급여만 있는경우에는 가입요건 소득에 포함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이하에 해당하는 자 |
금융소득 | 직전 3개년도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원 : 청년 본인,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4. 2025 지원확대와 혜택
2025년에는 ' 청년도약계좌 '의 지원 및 혜택을 대폭적으로 확대·강화하였습니다.
첫째, 기여금 지원이 확대입니다. 기존에는 소득 구간별 정해진 월 납입 한도 내에서만 정부기여금을 지원하였는데, 2025년부터는 한도 초과 금액 (70만 원 이하)에 대해 3%의 정부기여금을 추가지급 합니다.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자의 경우 최대 3만 3천 원까지 받을 수 있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연 최대 9.54%의 수익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둘째,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을 강화한 것입니다. 3년 이상 상품을 유지 후 중도해지할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의 6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비과세 미적용, 기여금 환수조건을 파격적으로 변경한 것입니다.
셋째,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로, 이는 기존에 없던 혜택입니다. 이는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이라는 조건이 있긴 하지만, 개인신용평가점수가점이 5~10점 부여되어 신용관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부분인출서비스입니다. 2년 이상 계좌를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까지 부분인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묶인 돈을 활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요약
조건 | 기존 (2024년) | 현행 (2025년) |
기여금 확대 | 정해진 한도내에서 지급 | 초과금액에 대해 3% 추가지급 |
유지기간혜택 | 5년 유지시만 혜택 제공 | 3년 이상 유지시 일부 혜택 제공 |
중도해지 비과세 혜택 | 없음 | 3년이상 유지시 비과세 유지 |
기여금 지급 기준 | 5년 만기에만 100% 지급 | 3년이상 유지시 60% 지급 |
신용점수 가점 | 없음 | 2년 이상 유지 및 800만원 납입시 가점 |
부분 인출 기능 | 불가능 | 2년 이상 유지시 원금의 40%까지 인출 가능 |
5. 가입 및 심사 절차
가입신청은 원하는 은행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하며, 해당 은행 사이트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1인 1 계좌만 가입이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연계 지원 상품으로 ' 청년주택드림청약 '을 같이 활용해 보세요.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금의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일시 납입으로 허용, 이후 청약통장을 통한 청년 주택드림 대출 연계로 주택 자금 지원할 수 있습니다.
6. 유지심사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으로 국비가 사용되는 만큼 유지심사를 1년 단위로 실시를 합니다. 이때 소득은 개인소득만 재확인하는 절차로 가구원 소득은 심사를 하지 않으니, 가구원 소득의 증가는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본인의 소득이 증가할 경우 총소득에 따라 기여금 적용 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총소득이 6,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비과세는 유지되지만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7. 취급은행
NH농협은행 4.5% | 신한은행 4.5% | 우리은행 4.5% | 하나은행 4.5% |
IBK기업은행 4.5% | KB국민은행 4.5% | iM뱅크 (구 대구은행) 4.0% | BNK부산은행 4.0% |
광주은행 3.8% | 전북은행 3.8% | BNK경남은행 4.0% | *** |
각 은행별 3년 고정금리를 참고하시고, 우대 금리는 조건에 따라 1% ~ 1.7%까지 취급은행마다 차이가 있으니 꼼꼼히 확인 후 본인에게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세요.
지금까지 ' 청년도약계좌 '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혜택이 파격적인 만큼 목돈 마련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천 원 이상 70만 원 내로 매월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한 만큼 적극 가입하여 혜택을 받으세요.